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100세 시대…은퇴 후 효과적인 주거 전략 비법은?.

본문

우리는 지금 100세(歲) 시대. 과학과 의료 기술의 발달로 수명은 늘고 있지만 치열해진 경쟁 탓에 은퇴 속도는 빨라지고 있다. 은퇴 후 삶이 길어지면서 여유 있는 노후를 맞기 위한 은퇴 설계는 이제 필수가 된 듯 하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세계 어디에 살든 대다수의 가장 큰 자산은 무엇 보다도 부동산, 그 중에서도 주택은 노후를 준비할 수 있는 가장 든든한 밑천이다. 현대 경제연구원이 실패하지 않는 노후를 맞을 은퇴 후 주거전략을 짚어 봤는데 상당히 공감이 가는 글이기에 올려 본다.

1. 새로운 부동산 투자는 잊어라.
은퇴 자금을 부동산에 투자하는 것은 그리 전망이 밝지 않다. 부동산은 거래 비용이 많이 들고 환금성이 낮다. 더구나 수익 실현 기간이 길고 수익이 나더라도 각종 세금과 수수료, 규제 등 고려할 것이 많다. 노후에 부동산을 투자용으로 구입하는 경우 당장의 수익이 아닌 상속용 자산으로 굳어진다. 더군다나 부동산 경기가 하락하는 시기라면 새로운 부동산 투자에는 아예 눈을 감는 게 좋다.

2. 큰 집에서 작은 집으로.
개인별 경제력의 차이를 떠나 집은 줄일수록 여유가 생긴다. 집값 자체가 비싼 것도 문제지만 큰집에서 살면 관리비와 냉·난방비 등의 고정비 지출 부담이 커진다. 노후에 별다른 수입이 없는 상황이라면 적지 않은 부담이다.

3. 전원생활에 대한 환상은 금물.
보통 '은퇴=전원생활'이란 공식이 익숙하게 느껴진다. 빡빡했던 도심 직장생활을 접고 여유롭고 공기 좋은 곳에서의 전원생활을 택하는 은퇴자들이 많아서다. 실제로 은퇴 세대의 상당수는 한적한 전원생활을 고려한다. 하지만 현실을 감안하면 전원생활은 좀 더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

 

전원생활을 시작한 은퇴자 가운데 상당수가 얼마 가지 않아 다시 도시로 유턴한 사례가 많아서다. 전원생활에 익숙하지 않으면서 현지 적응력이 낮은 고령자, 신체조건이 뒷받침되더라도 도심 기반의 사회적 네트워크에서 벗어나기 쉽지 않은 경우라면 전원생활에 실패할 가능성이 크다. 이럴 경우 도시 외곽에 전원형 주택을 지어 거주하거나, 임대수익을 얻을 수 있는 단독주택을 구입해 주말농장이나 텃밭을 임차하는 이른바 '도시형 전원생활'을 하는 것이 대안이 될 수 있다.

4. 은퇴자 도시는 어떨까.
미국, 일본, 영국, 호주 등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은퇴자 마을이 운영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최근 은퇴자 도시 조성 사업을 하는 지방자치단체가 다수 있다. 지방 자치단체로서는 인구수도 늘리고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이미 필리핀, 말레이시아 등 해외에서도 은퇴자 전입을 유혹하고 있다. 김재익 계명대 도시계획학과 교수는 "은퇴자 도시를 추진하는 지자체는 은퇴자의 주거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서비스, 시설, 편의 등을 제공하고 있다"며 "무작정 귀향하는 것 보다는, 각 은퇴자 도시가 마련한 입지와 시설, 서비스 등을 꼼꼼히 따져보고 나서 은퇴자를 위해 전문적으로 계획된 지역에 거주하는 것도 고려해 볼 만하다"고 말했다(자료 출처 : Chosun.com).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