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021년 2월 8일 미얀마에서 또 “쿠테타” 제4차 산업혁명을 논하는 21세기에도 “쿠테타”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Digital News Room/국내외 Hot 뉴스

by Digitalnz 2021. 2. 8. 00:00

본문

2021 2 8 미얀마에서  쿠테타 4 산업혁명을 논하는 21세기에도 쿠테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2021 2 1 민주화가 진행중인 미얀마에서 쿠데타가 일어나서 세상을 놀라게 했다. 4 산업혁명을 논하는 21세기에도 쿠데타는 여전히 세계 곳곳에서 반복하는 일상적 사건일까?. 

 

  유행인  알았던 쿠데타의 시대 계속되고 있다. 한국도 2번(박 정희, 전 두환)의 쿠테타”를 경험했기에 미얀마 사태와 함께  동안 쿠테타 역사 등에 대한 흥미로운 기사가 있어서 발췌해서 올려본다.

 

(21세기에 쿠테타”가 있었던 국가들은 말리, 수단, 베네수엘라, 아이티, 볼리비아, 온두라스, 에콰도르 등)

작년 8 아프리카 말리에선 8 만에 쿠데타가 재발했다. 2019 4 수단에서도 군대가 움직였다.   쫓겨난 오마르  바시르 대통령은 1989 쿠데타를 계기로 집권했다. 쿠데타 정권을  다른 쿠데타가 쫓아낸 것이다.

 

남미에선 21세기를 시작한 2000년대에 들어선 직후 10 사이에만 다섯번의 쿠데타가 발생했다. 2002 베네수엘라를 시작으로 2004 아이티, 2008 볼리비아, 2009 온두라스, 2010 에콰도르까지 연이어 번졌다.

 

(“쿠테타 어원)

쿠데타’(coup d'etat) 프랑스 말인데 무력으로 권력을 찬탈한다는 의미다. 1851루이 나폴레옹 3세는 대통령 임기를 연장하기 위해 ‘12 2 쿠데타를 일으켰다. 때부터 근대 국가에서 불법과 폭력적 수단으로 권력을 차지할 경우 쿠데타로 정의했다.

 

 

(“쿠테타 단골 태국 21)

"쿠데타"가 단골인 국가는 태국이다. 1932 쿠데타로 전제 군주제를 폐지하고 입헌군주제를 도입한 이래 21번이나 크고 작은 쿠데타가 이어졌다.  쿠데타는 왕권을 축소했지만,  이후로는 왕권을 강화한 친위 쿠데타였다.

 

2006 탁신 친나왓 태국 총리가 미국을 방문하던  태국의 19번째 쿠데타가 일어났다. 푸미폰 아둔야뎃 태국 국왕은 쿠데타를 일으킨 군부의 손을 들어줬다.

 

탁신 총리에게 반전의 기회도 왔다. 그의 여동생 잉락 친나왓이 2011 8 총리에 올랐다. 하지만 군대가  움직였다. 2014 5월에 일어난 쿠데타로 또다시 권력을 빼앗겼다.

 

(태국의 숨겨진 쿠데타 배후 세력은 태국 국왕)

 번의 쿠데타 모두 사실상 태국 국왕의 뜻에 따라 움직였다는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견해다. 국민적 지지를 받던 탁신 총리는 집권  왕권 축소를 추진했기 때문이다.

 

태국에서 국왕의 권한은 막강하다. 군부가 무력으로 권력을 잡아도 국왕의 승인을 받지 못하면 물러나야 한다. 1992년에 발생한 쿠데타는 성공한  보였지만, 국왕의 한마디로 없던 일이 됐다.

 

(“쿠테타 단골 2번째 국가는 터키로 6 반복)

터키에서도 "쿠데타"는 일상이다. 1960 이후 6번이나 반복했다. 가장 최근 2016년 "쿠테타" 시도는 2003년부터 장기 집권한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대통령을 몰아내는  목적이 있었다. 하지만 에르도안 신변을 확보하지 못하며 실패했다.

 

쿠데타 가담 병력은 불과 1000 수준으로 처음부터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결정적인 기회도 잡았다. 쿠데타군 F-16 전투기 2대가 에르도안이  비행기를 따라 잡았다. 에르도안은 전용기를 타고 휴가지에서 이스탄불로 급히 돌아오고 있었다.

 

격추 범위에 들어왔지만, 조종사는 끝내 미사일 발사 버튼을 누르지 않았다. 에르도안은 무사히 착륙한  쿠데타를 진압했다. 쿠데타에 가담했던 군대가 시민들에 폭행을 당하는 웃지 못한 일도 일어났다.

 

 쏘지 않았을까. 여론 조사에서 터키 국민  32% 쿠데타 미수 사건을 두고 정적제거를 위한 에르도안 대통령의 자작극이라고 답했다. 물론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건 없다.

 

세계 어느 국가이든 "쿠데타"는 한 번 뿌리를 내리면 오래 간다. 무력으로 취약한 왕정과 정권을 무너뜨리고 권력을 잡은 군부의 생존 DNA’ 오늘날까지 이를 여전히 증명해주고 있다.

 

(“아랍의  쿠데타에 무너져)

1952 7 이집트에서 무함마드 나기브를 비롯한 청년 장교단이 쿠데타를 일으켜 왕정을 무너뜨리고 공화국을 수립했다.   자리 잡은 군부 정권은 반세기가 넘도록 군 출신으로 국가 지도자들로 꾸려갔다.

 

2011 2 이집트 군부 정권은 마침내 무너졌다. 중동지역에 불기 시작한 아랍의 이집트 혁명으로 이어졌다. 1981 10 4 대통령에 오른 공군 대장 출신 호스니 무바라크는 집권 30 만에 권좌에서 내려왔다.

 

하지만 기득권이 꿈틀거리기 시작했다. 군부는 1952 쿠데타 이후 줄곧 특권층으로자리 잡고 각종 이익을 독점했다. 2011 혁명은 무바라크 개인의 몰락을 넘어 군부에도 위기로 다가왔다.

 

아랍의 봄은 짧았다. 2013 7 압둘 파타흐 알씨씨 국방부 장관   총사령관이 주도한 쿠데타가 발생했다. 그는 2014 3 6 이집트 대통령에 취임했다. 군부 정권은 이렇게 부활했다.

 

(이라크 쿠테타”)

1958 이라크 쿠데타는 위화도 회군 비슷했다. 그해 7 요르단 국왕 후세인 1세 요청에 따라 이라크 군대가 출동했다. 하지만 아브드 알카림 카심은 군대를 돌려 바그다드로 진격했다.

 

압둘 살람 아리프가 주도해 카심을 몰아낸 1963 쿠데타는  중앙정보국(CIA) 덕분에 가능했다. 1968 아흐마드 하산 알바크르가 주도한 쿠데타로 권력은  요동쳤다.  때도 보이지 않는 손이 있었다.

 

중동·남미 쿠데타, 미국(CIA) 은밀한 개입

알바크르는 1979 지병으로 사임한  부통령에게 자리를 넘겨줬다. 이때부터 2003년까지 이라크를 통치한  바로 5 대통령 사담 후세인이다. 후세인은 미국 덕분에 권자에 오를  있었고 미국 때문에 권좌에서 내려왔다.

 

(미국의 쿠테타 지원)

미국의 쿠데타 개입 흔적은 남미에서도 발견된다. 미국은 1961 4 피델 카스트로쿠바 정부를 전복하는 군사작전 피그스만 침공을 비롯해 1964 브라질 쿠데타, 1973 칠레 쿠데타  사회주의 정권을 타도하는 쿠데타를 지원했다.

 

(사회주의 체제하의 국가들은 거의 쿠테타 없어)

사회주의 체제에선 쿠데타가 별로 없다. 북한에서도 1994 ‘6군단 사건  일부 거론되는 경우가 있지만 대부분 과장됐거나 실체가 모호하다는  전문가 평가다. 

 

사회주의 종주국인 구소련에선 1991 8 19  번의 쿠데타가 있었다. 소련 공산당 보수파가 개혁ㆍ개방에 반대하며 일으킨 쿠데타는 이틀 만에 실패하고 오히려 소련 체제 붕괴를 앞당겼다.

 

(광복을 미룰 뻔했던 일본 쿠데타…5·16에도 영향)

일본에서 일어난 쿠데타 때문에 한국의 광복은 미뤄질 뻔도 했다. 1945 8 14궁성 사건으로 불리는 쿠데타가 발생했다. 일본 육군성  일부 청년 장교 집단은 무조건 항복에 반발해 최후 1인까지 결사 항전 주장했다.

 

항전파 세력은 총리대신  항복파 제거를 계획했지만, 동조 세력을 구하지 못했다. 결정적으로 천황도 이들의 손을 들어주지 않아 쿠데타는 하루 만에 없던 일이 됐다. 그대로 전쟁이 끝나면서 별다른 처벌도 없이 흐지부지됐다.

 

이웃 나라 일본은 한국의 ‘5·16 쿠데타에도 영향을 줬다. 1936 2 26 ‘226 사건으로 불린 쿠데타가 있었다. 황도파로 불린 우파 청년 장교가 천황의 친정을 강화하고 부패 세력을 척결하자며 궐기했다. 고민하던 천황은 이틀 만에 원대복귀를 명령했다. 황도파 장교  일부는 자결했고 초급 장교  일부는 처벌을 피했다.

 

‘2.26 사건 가담했던 간노 히로시는 만주군으로 추방됐다. 여기서 만주군관학교 생도 박정희를 만나 가깝게 지냈다. 박정희는 일본 육군사관에서도 황도파 출신 사카키중대장을 만났다.

 

민군관계 전문가 새뮤얼 헌팅턴은 쿠데타 성격에 따라 변혁적 쿠데타”,  정권 수호적 친위 쿠데타”,  거부의사의 쿠데타 분류한다. 하지만 본질을 들여다 보면 기득권을 두고 벌어진 권력 찬탈과 옹호라는 속성은 공통적이다.

 

따라서 요번에 쿠테타 발생한 미얀마(, 버마) 135 종족ㆍ민족으로 구성돼 있고 다양한 내부 갈등으로 사회는 분열되어 있어서 미얀마 군부는 내부 갈등을 명분으로 삼아 항상 정치에 개입할 기회를 엿보고 있다가 요본에  쿠테타 일으킨 것이다.

 

또한 사회적 갈등 때문에 쿠데타에 저항할  있는 대안 세력은 존재하지 않고 미얀마 군부가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 눈치 보지 않고 쿠데타를 일으킬  있고, 성공이 보장되는 배경이라고 한다.

 

그러나 지난 6 미얀마 최대 도시 양곤에서 시민 수천 명이 참가한 쿠데타 불복종 시위가 열렸고 다른 도시로 확산하는 추세라고 한다. 그래서 이번 "쿠테타"는 이전과 다른 저항 운동에 세계의 이목이 쏠리는 이유 중 하나라고 세계 언론들은 전하고 있다(원문기사 : 중앙).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