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세월 따라 변하는 뉴질랜드 원주민들의 아시안에 대한 인식.

Digital News Room/국내외 Hot 뉴스

by Digitalnz 2012. 5. 12. 18:18

본문

세월 따라 변하는 뉴질랜드 원주민들의 아시안에 대한 인식.

아시안 이민자들에 대한 뉴질랜드인들의 호감도는 시대에 따라 변해 왔다. 경제 상황이 좋거나 공유할만한 시련과 기쁨이 있을 때에는 친근감을 나타내다가도 불경기가 닥쳐 실업률이 높아지기라도 하면 반감을 드러내 놓기도 했다. 

 

2000년대 초반 아시안 이민 폭증으로 부정적 견해 확산   

지금으로부터 10년 전인 2002년에는 아시안계 이민 유입이 폭증했다. 장기사업비자와 기업이민, 투자이민 등으로 들어오는 사람들의 90% 이상이 아시안 이었다. 아시안이 물밀듯이 밀려오자 일부 보수 정치와 언론계에서는 적대적인 감정을 감추지 않았다.


어떤 정치인은 유색 인종의 이민자들이 계속 늘어날 경우 1950년대 영국에서 흑인의 대량 유입으로 촉발된 인종폭동이 뉴질랜드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특히 아시안 이민에 대한 문제를 정치적으로 이용했던 대표적인 인물이 현재도 뉴질랜드 퍼스트(New Zealand First)당 대표로 있는 윈스턴 피터스(Winston Peters)였다. 그는 선거 때마다 급증하는 아시안 이민자들 때문에 뉴질랜드가 인종분포에 심한 불균형을 초래하고 있다며 인종문제를 조장했다. 일부 보수 논객들은 오클랜드의 퀸 스트리트를 걸으면 마치 북경이나 홍콩에 와 있는 것 같은 착각이 든다며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기도 했다.


내 집 마련이라는 키위들의 꿈을 날려버린 주택가격 급등과 범죄 증가, 학교 과밀화 등 사회적인 문제들이 아시안 이민자들 때문으로 매도되곤 했다. 이러한 명분이 축적되면서 정부는 그 해 11월 영어시험을 엄격하게 강화한 이민정책을 시행, 사실상 비영어권 국가 출신 이민자들의 문호를 봉쇄했다. 이 후 영국 출신 이민자들이 뉴질랜드 이민의 주류를 이루게 된 건 주지의 사실이다.
 

백인 이민자들이 늘자, 이번에는 일부 마오리들이 영국, 미국, 남아프리카공화국 출신의 백인들이 백인우월주의로 뉴질랜드의 인종관계에 위협적인 존재가 되고 있다며 이들을 제한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2000년대 중반 이후 경제적 교류에 큰 기대감  

2000년대 중반 이후 뉴질랜드는 세계 경제성장의 동력이 되고 있는 아시아 지역과의 관계 개선에 나서면서 2008년에는 3년간의 긴 협상 끝에 선진국 가운데 처음으로 중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했다.   이를 반영하듯 2008년 9월부터 10월까지 뉴질랜드인 1,000명을 대상으로 아시아뉴질랜드재단이 실시한 '2008년 아시아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 뉴질랜드인들은 아시아를 생각할 때 제일 먼저 떠올리는 나라로 중국(53%)을 가장 많이 꼽았고, 그 다음은 일본(14%), 인도(6%), 태국(6%), 대만(6%), 말레이시아(3%), 싱가포르(3%), 한국(2%), 인도네시아(2%), 홍콩(2%) 등의 순이었다.
 

이 조사에서 응답자들 가운데 아시아 출신 이민자들이 뉴질랜드 사회에 소중한 문화의 다양성을 가져왔다고 대답한 사람은 82%로 2007년의 76%보다 높았다. 응답자의 75%는 뉴질랜드의 미래에 있어 중요한 지역으로 아시아를 꼽았고, 유럽과 북미는 각각 67%와 55%로 아시아보다 낮았다. 


또한 91%는 아시아가 뉴질랜드의 중요한 수출시장이라고 응답, 경제적 교류에 큰 기대감을 표시했으며 아시아의 경제성장이 뉴질랜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으로 생각한다는 견해를 밝힌 사람도 80%에 달했다. 응답자의 73%는 아시아 국가들과의 자유무역협정이 뉴질랜드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으며 89%는 아시아인들의 관광이 가져올 혜택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침체로 아시안에 냉담
경기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아시안에 대한 우호적인 감정도 냉담해졌다. 아시아뉴질랜드재단이 2010년 뉴질랜드인 1,000명으로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종전보다 우호적인 감정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매우 차갑고 비우호적'을 0점, '매우 따뜻하고 우호적'을 100점으로 삼아 수치로 평가하여 종전과 비교할 때 일본인은 76점에서 73점, 인도인은 72점에서 68점, 중국인은 71점에서 68점으로 각각 내려갔다. 아시안 이민자들이 앞으로 10~20년 사이에 뉴질랜드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는 뉴질랜드인의 비율은 2009년 55%에서 49%로 떨어졌다.


아시안 이민자들이 뉴질랜드에 문화적 다양성을 가져다 주리라 생각하는 뉴질랜드인도 75%로 줄어들었다. 보고서는 이전에도 뉴질랜드에서 경제가 나빠지면 이런 경향이 나타났는데 특히 아시안 이민자들에 대한 감정이 좋지 않았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그래도 뉴질랜드인이 호주인들 보다 아시아인들에 대해 더 우호적이라고 덧붙였다. 2009년 호주에서 이런 방식으로 아시아인에 대한 감정을 조사했을 때 일본인 66점, 인도인 56점, 중국인 53점이었다.

 

아시안과 교제 경험 있는 키위들이 더욱 우호적

지난해는 럭비 월드컵과 뉴질랜드, 일본에서 각각 발생한 지진으로 비극을 공유하게 되면서 아시아인들에 대해 좀 더 따뜻한 감정을 갖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역시 아시아뉴질랜드재단이 지난해 9월부터 10월 사이 1,000명 이상의 뉴질랜드인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아시아인들에 대한 감정이 조금 더 따뜻해졌다고 응답한 사람은 21%를 넘어섰고, 아시아인들이 뉴질랜드 사회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는 응답자는 5명 중 4명꼴이었다.


또 아시아 지역이 뉴질랜드의 미래에 중요하다거나 매우 중요하다고 응답한 사람은 83%로 지난 10년 동안 최고를 기록했다.
이밖에 아시안 이민자들이 일자리를 빼앗아가고 있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지난번 조사 때 29%에서 25%로, 아시아인들이 뉴질랜드 주류사회와 잘 어울리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40%에서 35%로 각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아시아인 친구가 있다는 응답자도 계속 늘어 지난번 조사 때 65%에서 이번에는 72%였고, 지역에서 열리는 아시아인 행사에 참석한다는 응답자도 28%에서 33%로 증가했다.


크라파 농장의 중국 회사 매각이 사회적인 이슈로 불거진 가운데 응답자의 74%는 아시안 투자가 뉴질랜드 경제에 도움을 준다고 찬성했으며 20% 이상은 뉴질랜드가 아시아의 일원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아시아인들에 대한 감정이 좀 더 따뜻해졌다고 밝힌 사람들의 17%는 아시아에서 일어난 자연 재해 때문에 그곳에서 온 사람들에 대해 동정심을 갖게 됐다고 응답했다고 밝혔다.

 

또한 이는 일본에서 일어난 지진이 무엇보다 큰 역할을 했고, 크라이스트처치 지진 때 아시아 국가들로부터 받은 도움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여러 조사 결과에 따르면 아시안에 대한 인식의 가장 큰 관건은 교제에 있다는 것이다.


즉 아시안과 교제할 기회가 거의 없는 뉴질랜드인의 경우 조금이라도 아시안과 만날 기회가 있는 이보다 아시안에 대한 인식이 냉담했다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가 우선 손쉽게 할 수 있는 일은 이웃에 사는 키위들과 마주칠 때마다 인사를 나누는 일일 것이다(자료출처 : 뉴질랜드 Koreapost).

관련글 더보기